반응형

전체 글 277

SSL 동작 방식

대칭키동일한 키로 암호화와 복호화를 같이 할 수 있는 방식의 암호화 기법 단점 : 암호화된 텍스트 + 대칭키를 같이 전송해야 되는데, 대칭키를 누군가 가져가면 암호화된 텍스트가 아무런 쓸모가 없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대칭키(공개키)를 사용한다. 비대칭키(공개키)암호화 방식은 비밀키와 공개키를 통해 암호화하는 방식이다. 공개키로 암호화한것은 오직 비밀키로 복호화가 가능하다.(그 반대도 가능)비밀키는 오직 자신만이 가지고 있고, 공개키는 누구나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누군가 나에게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싶을 땐 공개키를 통해 암호화해서 전송한다. 암호화된 정보는 오직 내가 가지고 있는 비밀키로만 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하다.  SSLSSL 인증은 SSL 인증서( 신분증 같은 개념 ..

네트워크 2024.09.29

HTTP / HTTPS

HTTP 1.0 은 기본적으로 한 연결당 하나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계 되어있다. 서버로부터 파일을 가져올 때마다 TCP의 3-way hanshack를 계속해서 열어야 하기 떄문에 RTT가 증가하는 단점RTT(Round-trip ime, 왕복 시간)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고 나서 다시 출발지로 돌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며 패킷 왕복 시간   RTT의 증가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매번 연결할 때마다 RTT가 증가하니 서버에 부담이 많이 가고 사용자 응답 시간이 길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 스플리팅, 코드 압축, 이미지 Base64 인코딩을 사용하곤 했다.  이미지 스플리팅많은 이미지를 다운받게 되면 과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많은 이미지가 합쳐있는 하나의 이미지를 다운받고, 이를 기반으로 backgrou..

네트워크 2024.09.29

탐욕법 - 단속카메라

이 문제는 단속 카메라를 한 번 이상 만나게 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경로가 겹치는 부분에 카메라를 최소한으로 설치해야한다. 이때, 경로가 겹치는 부분에 카메라를 설치하면 해당 경로를 통과하는 모든 차량이 카메라를 만나게 된다. 문제 풀이1. routes를 고속도로를 나간 지점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2. routes[0][1]위치에 카메라를 설치3. 반복문을 통해 routes를 탐색하면서 routes[i][0](시작지점)이 마지막에 설치한 카메라 위치보다 크다면 카메라를 routes[i][1]에 설치한다.  고속도로를 수평선이라 생각하고 그림을 그리면 더 쉬울것이다.import java.util.*;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routes) { ..

카테고리 없음 2024.09.28

TCP/IP 4계층 모델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이며, 이를 TCP/IP 4 계층 모델로 설명하거나 OSI 7층 모델로 설명하기도 한다. 계층 구조TCP/IP 게층은 4 개의 계층을 가지고 있으며 OSI 7 계층과 많이 비교한다.TCP/IP 계층과 달리 OSI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세 개로 쪼개고 링크 계층을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으로 나눠서 표현하는 것이 다르며, 인터넷 계층을 네트워크 계층으로 부른다는 점이 다르다.예를 들어 전송 계층에서 TCP를 UDP로 변경했다고 해서 인터넷 웹 브라우저를 다시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듯 유연하게 설계된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계층FTP, HTTP, SSH, SMT..

네트워크 2024.09.22

네트워크란?

네트워크는 컴퓨터 등의 장치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하는 연결망을 자칭하는 용어이다.네트워크를 이루는 계층, 장치 등에 대해 알아보자. 네트워크의 기초네트워크는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을 의미한다.노드(node) :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한다.링크 (link) : 유선 또는 무선을 의미한다.  처리량과 지연 시간네트워크를 구축할 때는 '좋은'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좋은 네트워크는 무어일까?좋은 네트워크 : 처리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연 시간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으며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를 말한다. 처리량 처리량 (throughput) :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양처리량은 사..

네트워크 2024.09.22

Tree의 종류

Array, LinkedList, Stack, Queue 는 라임처럼 생긴 그냥 일직선의 데이터의 형태이다. 하지만 Tree는 부모, 자식 형태을 가진 구조이며, 계층이고 그룹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건 노드가 하나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서 가능하다. Tree는 부모가 자식을 알고 자식도 부모를 알고 있는 경우가 있다. 다른 경우로는 부모가 자식 노드를 알고 있지만 자식은 부모 노드를 모르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자식 노드 에서 더 이상 노드가 없는경우 Leaf 라고 부른다.  Binary Tree (이진트리)부모 노드가 자식 노드를 2개 를 가진걸 Binary Tree 라고 한다. 하지만 노드에 무조건 2개의 노드만 붙으라는 법은 없다. 만약 3개의 노드가 붙은게 있다면 그것을 ternary Tree..

카테고리 없음 2024.09.22

서버 로직 아키텍쳐

DNS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웹페이지에 접근 할 때 문자열을 가진 도메인으로 접근하는데, 이러한 도메인은 각각의 고유 주소인 IP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주로 URL에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naver.com  형식으로 작성을 할 것이다. 이는 우리가 외우기 쉽고, 쉽게 접근할수 있도록 되어 있는것이다. DNS를 조회하면 IP가 있고 그 IP의 주소안에 Port의 안내의 따라 웹 사이트에 접근이 가능하다.   CDN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약자로 말 그대로, 컨텐츠를 전달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다. 보통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하여 리소스를 가져오지만 웹 서버가 아니라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에 리소스를 캐싱 해놓고 보다 빠르게 가져오는 기법이다. 물론 네..

카테고리 없음 2024.09.10

DNS, CDN, NginX

DNS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웹페이지에 접근 할 때 문자열을 가진 도메인으로 접근하는데, 이러한 도메인은 각각의 고유 주소인 IP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주로 URL에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naver.com  형식으로 작성을 할 것이다. 이는 우리가 외우기 쉽고, 쉽게 접근할수 있도록 되어 있는것이다. DNS를 조회하면 IP가 있고 그 IP의 주소안에 Port의 안내의 따라 웹 사이트에 접근이 가능하다.   CDN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약자로 말 그대로, 컨텐츠를 전달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다. 보통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하여 리소스를 가져오지만 웹 서버가 아니라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에 리소스를 캐싱 해놓고 보다 빠르게 가져오는 기법이다. 물론 네..

카테고리 없음 2024.09.08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 란?

서블리 컨테이너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웹 서버(Web Server) 가 뭐인지 알아야 한다.  웹서버는 :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서버이다.웹 서버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용자는 브라우저에 URL(https://wwww,naver.com)을 입력한다.그리고 사용자는 웹페이지를 얻게 된다.웹서버가 하는 일은 웹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한다. 서블릿 컨테이너란 ?서블릿 컨테이너: 서블릿들의 생성, 실행, 파괴를 담당한다.: 서블릿들을 위한 상자(Container)입니다.서버에 만들어진 서블릿이 스스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서블릿을 관리 해주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서블릿 컨테이너 이다.즉, 서블릿을 '요구사항 명세서'..

카테고리 없음 2024.09.08

ES5와 ES6의 차이점

Javacript의 ES란 무엇인가?Javascript는 원래 넷스케이프에서 시작된 언어인데,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근간이라고 볼 수 있는 C언어보다 훨씬 나중에 개발된 언어이다. 자세한 역사는 해당 링크를 통해 가보면 될 것이다. -> 'Javacript란?'결과부터 말하면 ES라는 것은 'Javascript의 표준 규격'을 의미하는데, 이것이 탄생한 배경에는 '브라우저 전쟁'이라고 하는 웹 브라우저 시장에서의 점유율 싸움이 있었다. 넷스케이프 사에서 개발한 Javascript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하자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도 IE 3(우리가 알고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JScript라는 이름으로 자바스크립트를 탑재했지만, 실제적으로는 둘의 내용이 매우 달라서 같은 기능을 구현하더라도 개발자들이 ..

카테고리 없음 2024.09.08
반응형